Jump to content

삼앤정

Members
  • 게시글

    2
  • 첫 방문

  • 최근 방문

Recent Profile Visitors

The recent visitors block is disabled and is not being shown to other users.

삼앤정's Achievements

Newbie

Newbie (1/14)

  • First Post
  • Reacting Well Rare
  • Conversation Starter
  • One Month Later
  • Week One Done

Recent Badges

0

Reputation

  1. 안녕하세요, 바쁘실텐데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제가 아직 답변으로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 추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1번에 "텍스트가 입력되어 있고, maxTokens 값이 4096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maxTokens 값을 줄여야 합니다." 라고 답변을 주셨는데, 텍스트 초과인 상황에 토큰 크기를 오히려 줄여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저는 플레이그라운드에서 4096으로 설정하고 실행했을 때 답변을 얻어서 API에서도 동일한 설정으로 실행했으나 text too long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1-1번에 "시스템 프롬프트와 사용자 입력 모두 포함하여 계산됩니다. 프롬프트의 길이가 길더라도 출력 결과의 길이는 작업 유형에 따라 달라질 뿐, 짧아지지 않습니다." 라고 답변 주셨는데, 최대 4096 토큰을 입력과 출력이 나눠가지는 상황에서 입력(프롬프트와 질문)의 크기가 커졌는데 어떻게 출력의 크기가 작아지지 않는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2번의 경우 제 질문이 상세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플레이그라운의 프롬프트 작성 내용이 API로 변환했을 때 system(문제 정의), user(예시 질문), assistant(예시 답변) 세 가지로 구분되어 나왔습니다. 위 상황에선 이미 프롬프트 상에 제가 넣어준 예시 답변이라 API 호출 시에도 포함돼야한다고 생각했는데, 답변 주신 내용은 system(예시 답변 없는 문제 정의)만 넣고 바로 user에서 실제 질문을 입력해도 제가 원하는 포맷의 답변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일까요? 번거롭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2. 안녕하세요, HCX를 활용한 통화 분석을 테스트해보고 있는 유저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HCX 활용 중에 질문이 생겨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우선 제 현 상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HCX의 통화 분석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플레이그라운드에서 아래와 같이 총 2400자 가량의 프롬프트를 작성하였고, 플레이그라운드 상에서 이뤄진 대화는 준수한 답변을 얻었습니다. 역할 정의 평가 지표 <답변 예시> 사용자: <질문> AI: <답변> 위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생성된 테스트 앱에서 아래와 같이 preset_text가 생성됐습니다. 저는 user 입력을 추가해 새로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했습니다. {"role":"system","content": <역할 정의> <평가 지표>}, {"role":"user","content": <사용자 질문>}, {"role":"assistant","content": <예시 답변>}, {"role":"user","content": <Input 질문>} 그러나 질문을 입력하고 실행했을 때, 텍스트 길이 초과로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맥스 토큰은 최대인 4096으로 설정한 상태입니다. event:error data:{"status":{"code":"40003","message":"Text too long"}} 여기서 몇 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1. 플레이그라운드와 API로 호출한 HCX의 토큰 제한에 차이가 있나요? API에선 플레이그라운드에서 작성한 프롬프트만 입력해도 Text too long 에러가 발생합니다. 1-1. 토큰의 길이에 프리셋 텍스트 내용도 포함되는 걸까요? 플레이그라운드 설명에 "결괏값을 생성할 때~" 라고 설명되어 입력 토큰 제한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프롬프트 설명이 길고 상세할수록 답변은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밖에 없지 않나요? 2. HCX가 {"role":"assistant", "content": <예시 답변>}에서 예시 답변과 동일한 포맷의 답변을 반환하길 원해서 system -> user -> assistant -> user(실제 input) 순으로 프리셋 텍스트를 설정했습니다. 간단히 답변 형식만 정해주는 수준이라면 올바른 사용 방식이 맞나요? 텍스트 초과로 답변을 볼 수 없었지만, 플레이그라운드 상에선 프롬프트의 예시만으로 원하는 형식으로 답변이 잘 출력되긴 했습니다. 3. 현 상황에서 튜닝이 필요한지에 대한 고민이 있습니다. 튜닝을 하면 예시 답변을 넣지 않아 토큰 절약에 도움은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1. 답변 형식이 단순해서 프롬프트만으로 출력이 가능하다는 점, 2. 튜닝을 할만큼 많은 데이터가 없다는 점, 3. 예시 답변의 길이가 길지 않고 역할 정의와 평가 지표에 대한 설명이 길다는 점 등으로 그 효용이 크진 않을 것 같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4. 입력으로 통화 내역을 넣다보니 Input 자체가 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렇게 토큰이 초과되는 상황은 어떻게 핸들링해야 할까요? 사용 가능한 최대 토큰을 더 늘릴 수는 없을까요? 지식이 짧아 두서 없이 많은 질문을 드리게 됐습니다. 아무쪼록 답변 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 Create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