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 Posted June 13 공유하기 Posted June 13 (edited) 안녕하세요, 개발 과정에서 텍스트 벡터 임베딩이 필요해 클로바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임베딩v1을 활용할 계획이 있습니다. 서비스 신청 후, 테스트 앱 발급에서의 테스트 키와 별도로 서비스 키가 따로 존재하던데 둘의 차이가 단순히 서비스 앱 사용 유무로만 나와 혼동이 와서 질문드립니다. 테스트 키는 바로 발급돼서 개발 앱에 적용해보니 응답은 정상적으로 이뤄지나 빈 응답이 오는 걸 봐선 서비스 키가 필요할 듯한데 문제는 서비스 앱 신청에 회사나 서비스 앱 관련 정보(시연 영상, 도메인 등등) 명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회사가 아닌 사이드 프로젝트 팀인데, 이런 상황에서 서비스 키 발급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그리고 테스트 키와 서비스 키의 활용 유무 및 선택 기준에 대해서도 안내받고 싶습니다. Edited June 13 by jun 링크 복사 다른 사이트에 공유하기 More sharing options...
jun Posted June 14 Author 공유하기 Posted June 14 추가로 질문이 있는데 임베딩v1과 임베딩v2의 초당, 분당 요청수를 알 수 있을까요? 프로젝트에 비동기 멀티 스레드 구조가 채택돼서 대용량 호출이 될 것을 감안해 대기열을 도입하려 하는데 관련하여 허용된 초당 요청수를 알면 구조 설계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링크 복사 다른 사이트에 공유하기 More sharing options...
CLOVA Studio 운영자9 Posted June 16 공유하기 Posted June 16 안녕하세요 @jun님, CLOVA Studio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테스트 API 키로 적용했을 때에도 응답이 정상적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말씀주신대로라면 (API Status Code는 200인데 응답이 빈 경우) 뭔가 이슈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빈 응답으로 오는 케이스 (API 요청 및 응답 구문) 를 전달해주시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사용 가이드에서 안내하는 바와 같이 테스트 앱으로 충분히 테스트를 진행하신 후 실제 서비스를 출시하고자 하실 때에 서비스 앱을 신청하시면 되는데요. 꼭 회사가 아니더라도 개발하고자 하시는 서비스 정보를 적어주시면 심사에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s://guide.ncloud-docs.com/docs/clovastudio-app-publish) 테스트/서비스 앱별 이용량 제어 정보 역시 사용 가이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guide.ncloud-docs.com/docs/clovastudio-ratelimiting) 확인 부탁드리며, 앞서 말씀드린 빈 응답 케이스 전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링크 복사 다른 사이트에 공유하기 More sharing options...
Recommended Posts
게시글 및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